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6

홍역(Measles), 다시 주의가 필요한 감염병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한때는 사라진 줄 알았던 질병이지만, 백신 접종률이 낮아지면서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홍역이 어떤 질병인지, 현재 미국의 유행 상황, 원인, 우리나라에서의 위험성,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홍역이란?2. 홍역 유행 지역 현황 (2025년 기준)3. 홍역 유행의 주요 원인4. 우리나라에서 홍역 유행 가능성5. 홍역 치료법6. 홍역 예방법7. 맺으며 1. 홍역이란?홍역(Measles)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주로 고열,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초기에 나타나고, 이후 전신에 붉은 발진이 퍼지.. 2025. 4. 8.
스무트-홀리 관세법 이야기 "보호무역이 항상 자국민에게 이익이 될까?"1930년 미국에서 통과된 한 법안이 미국 경제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를 휘청이게 만들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이름은 생소하지만, 그 영향력은 대단했죠.오늘은 이 법이 왜 만들어졌고,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아울러 그 법안이 요새 다시금 회자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왜 만들었을까?1929년 대공황이 터지기 전부터, 미국 농민들은 국제 시장에서 가격 경쟁에 시달리고 있었어요. 당시 미국 의회는 "국내 산업과 농업을 보호하자"는 명목 아래 수입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 법안을 발의한 두 상원의원의 이름을 따서 스무트-홀리 법이라고 불리게 되었죠.. 2025. 4. 7.
마그네슘의 종류와 효능, 부작용 가끔 눈밑의 근육에 경련이 생겨서 떨릴 때가 있죠?그러면 주변에서 마그네슘이 부족해서 그렇다면서, 바나나를 먹으라고 권합니다. 그 말을 듣고 바나나를 챙겨 먹으면 느낌상 그런건지는 몰라도, 또 눈가의 경련이 없어지곤 하죠.그 밖에 마그네슘은 우리 몸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마그네슘을 영양제로 보충했을 때 생기는 부작용은 없을까요? 함께 알아볼게요. 목차1. 마그네슘이 많은 음식2. 마그네슘의 종류3. 마그네슘의 주요 효능4. 마그네슘 섭취시 부작용  1. 마그네슘이 많은 음식  옛말에 '음식이 보약' 이라는 말이 있죠. 저는 약을 복용하기에 앞서, 증상이 가벼울 때는 가급적 음식에서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고자 찾아보는 편입니다.마그네슘이 많은 음식을 찾아 보았어요. 100g당 마그네슘 함유량 (단.. 2025. 4. 4.
커피믹스를 사랑한 한국인들 커피믹스의 탄생과 한국의 소비량, 그리고 건강 영향에 대한 이야기커피 한 잔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 하루에 아메리카노 2-3잔은 마실만큼 커피를 좋아합니다. 근데 가끔씩은 달짝지근한 커피믹스가 땡길 때가 있더라고요.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달달하고 고소한 커피믹스를 즐기는 사람이 많죠.편리하게 뜨거운 물만 부으면 바로 마실 수 있는 커피믹스는 언제, 어디서, 그리고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요? 또한 한국의 커피믹스 소비량은 얼마나 될까요? 마지막으로, 커피믹스는 일반 원두커피보다 건강에 안 좋을까요? 오늘은 이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커피믹스의 탄생 –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 커피믹스는 스위스의 네슬레(Nestlé)사가 1976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제품입니다... 2025. 3. 24.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와 영향 우리의 전통적인 우방인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올린 것이 뒤늦게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미국은 어떤 조건에 근거하여 민감국가를 지정하는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이 결정이 향후 한미 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1. 미국이 민감국가를 지정하는 주요 기준2. 현재 민감국가로 지정된 국가들3.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4. 한미관계에 미칠 영향 1. 미국이 민감국가로 지정하는 주요 기준미국은 국가 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성, 경제 안보 위협, 테러 지원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합니다. 이러한 지정은 해당 국가와의 기술 협력이나 연구 참여에 제한을 두기 위한 조치입니다.① .. 2025. 3. 24.
국민연금 어떻게 바뀌나 2025년 3월 20일 오전 국민연금 개혁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2007년 2차 개혁 이후, 무려18년 만에 여야가 국민연금개혁안에 합의한 것입니다.이번 국민연금개혁안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더 내고 더 받자'라고 하는데요.국민연금이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정리해 볼게요.목차1. 국민연금보험료 인상률2.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변동3. 그 밖의 주요 개정사항  1. 국민연금보험료 인상률 국민연금보험료율은 현재 9%에서 13%로 오르게 됩니다. 4%가 오르는 것이죠.2007년부터 지금까지 동결됐던 보험료율이 18년 만에 인상되는 것입니다. 단번에 4%를 인상하는 것은 아니고요. 2026년부터 매년 0.5%씩 8년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인상됩니다. 이렇게 보험료율이 오르면, 국민연금 기금의 적자 전환시점이.. 2025. 3. 22.
식적(食積)의 원인, 증상, 예방 및 치료법 요즘 사춘기인 저희 아이는 식사 때가 돼도 배가 고프지 않고, 먹은 후에는 항상 속이 더부룩하고, 가스가 차고 트림을 계속해요.소화가 안 되거나 배탈이 나는 것은 아닌데, 매번 식사 때마다 똑같은 증상을 호소하니, 엄마로서 걱정이 많이 됩니다.그래서 병원을 가기 전에 아이의 증상에 대해서 인터넷으로 찾아봤는데, 제가 의사가 아니니 확신할 순 없지만, 거의 식적(食積)과 일치하더라고요. 이번 글에서는 식적의 정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 그리고 한의학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목차1. 식적이란?2. 식적의 원인3. 식적의 주요 증상4. 식적의 예방 방법5. 식적의 한의학적 치료법 1. 식적이란? 식적(食積)이란 문자 그대로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몸에 쌓여 있는 병입니다. 소화기능이 떨어져서 소화.. 2025. 3. 16.
철새와 조류독감, 인간 감염 가능성 날씨가 풀려서 오랜만에 집 주변 호숫가로 산책을 나갔더니, 오리들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철새들을 보니 갑자기 조류독감이 떠올라서 오늘은 조류독감에 대한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목차 1. 철새와 조류독감의 관계2. 조류독감의 증상3. 조류독감이 인간에게 전염될 가능성4. 인간 감염 시 증상5. 예방 방법6. 맺음말1.철새와 조류독감의 관계조류독감(Avian Influenza, AI)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특히 철새가 바이러스의 주요 전파자로 알려져 있습니다.철새는 계절에 따라 대륙을 오가며 장거리 이동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철새들이 바이러스를 보유한 채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면, 해당 지역의 야생조류와 가금류(닭, 오리 등)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