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7

병원 진료시 신분증을 안 가져왔다면? 요새 주변 사람들이 하나 둘 감기에 걸리더니, 결국 저도 걸리고 말았습니다. 아침에 출근할 땐 병원에 안 가도 괜찮을 것 같았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퇴근길에 병원을 들러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그런데 가만있어보자.. 내가 신분증을 가져왔던가...? 병원 진료시 본인 확인 수단, 예외사항, 실물 신분증이 없을 경우 대처방법까지 정리해 볼게요. 목차1. 병원 진료 시 본인 확인을 하는 이유2. 병원 진료시 본인확인 수단3. 본인확인 예외 사유4. 실물 신분증을 안 가져왔을 때 해결방법  1. 병원 진료시 본인 확인을 하는 이유 병원 진료시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을 하는 제도는 작년 24년 5월 20일부터 시행됐습니다. 그동안 병원에 주민등록번호를 알려 주기만 하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었는데요.  이를 .. 2025. 4. 14.
홍역(Measles), 다시 주의가 필요한 감염병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한때는 사라진 줄 알았던 질병이지만, 백신 접종률이 낮아지면서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홍역이 어떤 질병인지, 현재 미국의 유행 상황, 원인, 우리나라에서의 위험성,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홍역이란?2. 홍역 유행 지역 현황 (2025년 기준)3. 홍역 유행의 주요 원인4. 우리나라에서 홍역 유행 가능성5. 홍역 치료법6. 홍역 예방법7. 맺으며 1. 홍역이란?홍역(Measles)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주로 고열,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이 초기에 나타나고, 이후 전신에 붉은 발진이 퍼지.. 2025. 4. 8.
스무트-홀리 관세법 이야기 "보호무역이 항상 자국민에게 이익이 될까?"1930년 미국에서 통과된 한 법안이 미국 경제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를 휘청이게 만들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이름은 생소하지만, 그 영향력은 대단했죠.오늘은 이 법이 왜 만들어졌고,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아울러 그 법안이 요새 다시금 회자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왜 만들었을까?1929년 대공황이 터지기 전부터, 미국 농민들은 국제 시장에서 가격 경쟁에 시달리고 있었어요. 당시 미국 의회는 "국내 산업과 농업을 보호하자"는 명목 아래 수입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 법안을 발의한 두 상원의원의 이름을 따서 스무트-홀리 법이라고 불리게 되었죠.. 2025. 4. 7.
마그네슘의 종류와 효능, 부작용 가끔 눈밑의 근육에 경련이 생겨서 떨릴 때가 있죠?그러면 주변에서 마그네슘이 부족해서 그렇다면서, 바나나를 먹으라고 권합니다. 그 말을 듣고 바나나를 챙겨 먹으면 느낌상 그런건지는 몰라도, 또 눈가의 경련이 없어지곤 하죠.그 밖에 마그네슘은 우리 몸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마그네슘을 영양제로 보충했을 때 생기는 부작용은 없을까요? 함께 알아볼게요. 목차1. 마그네슘이 많은 음식2. 마그네슘의 종류3. 마그네슘의 주요 효능4. 마그네슘 섭취시 부작용  1. 마그네슘이 많은 음식  옛말에 '음식이 보약' 이라는 말이 있죠. 저는 약을 복용하기에 앞서, 증상이 가벼울 때는 가급적 음식에서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고자 찾아보는 편입니다.마그네슘이 많은 음식을 찾아 보았어요. 100g당 마그네슘 함유량 (단.. 2025.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