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기한, 신용카드 납부 혜택 총정리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재산세 과세대상, 납부기한, 그리고 신용카드 납부 혜택을 총정리해 드립니다.
끝까지 읽어 보시고 절세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재산세 과세대상
2. 재산세 납부기한
3. 재산세 납부 방법
4. 신용카드 납부 혜택
1. 재산세 과세대상
재산세는 2025년 6월 1일 현재 토지, 건축물(상가, 사무실, 공장 등), 주택(아파트, 단독주택), 선박, 항공기를 보유한 자에게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입니다.
5월 31일까지 다른 사람이 소유했어도, 6월 1일 현재 소유자가 바뀌었다면, 새로운 소유자가 전액을 납부해야 하는 구조입니다.
2. 재산세 납부기한 및 납부액
항목 | 납부기한 | 납부금액 |
주택 1기분 | 7월 16일 ~ 7월 31일 | 과세액의 1/2 (단, 20만원 이하일 경우는 전액) |
주택 2기분 | 9월 16일~ 9월 30일 | 나머지 1/2 |
건축물, 선박, 항공기 | 7월 16일 ~ 7월 31일 | 전액 |
토지 | 9월 16일 ~ 9월 30일 | 전액 |
요약하자면, 주택은 7월말까지 절반, 9월 말까지 절반 내시면 되고요.
건축물, 선박, 항공기, 토지는 7월말까지 전액을 내고
토지는 9월말까지 전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납부 기한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3. 재산세 납부 방법
(1) 온라인
① 위택스(WETAX)
https://www.wetax.go.kr/main.do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② 서울시 ETAX앱 : 스마트폰으로 계좌, 카드, 간편 결제 가능
(2) 오프라인
전국 은행 ATM 또는 창구, 편의점, ARS(1599-3900)
저는 은행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아까와서 매년 위택스에서 납부하고 있어요.
위택스에서 타인카드로 납부도 가능해서 좋더라고요.
4. 신용카드 납부 혜택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무이자할부 부터 캐시백까지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올해는 혜택이 적어진 느낌이라 아쉽긴 한데요.
(1) kB국민카드
주의!
(행사1) 6월 말까지 전자송달을 신청하고 이벤트 응모를 완료했으며, KBpay로 30만 원 이상 납부하는 경우에만 커피쿠폰의 당첨기회가 생깁니다. 조건이 꽤나 까다롭네요.
(행사 2) 7월 한 달 동안 KB pay를 최초로 신규가입하신 경우(가입했다 탈퇴한 후 재가입은 안 됨), KBpay로 30만 원 이상 납부하면 커피쿠폰 1매를 100%로 받습니다.
(2) 신한카드
신용카드 6~12개월 무이자 슬림할부(슬림할부는 부분 무이자 할부 개념입니다.)
체크카드로 납부시엔 0.1% 캐시백을 제공합니다.
(3) 롯데카드
국세, 지방세 납부금액의 1%를 캐시백 제공합니다.
다음의 경우엔 1% 추가 캐시백을 준대요.
① 국세, 지방세를 일시불로 납부하고 5 영업일 내에 즉시결제할 때
② 국세, 지방세 일시불 이용금액을 일주일 간 자동결제 시
(4) BC카드
2~3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합니다.
마이태그 등록시 머니박스가 적립됩니다.
https://bccard.com/app/card/ContentsLinkActn.do?pgm_id=ind1200
마이태그>혜택>이벤트/혜택
bccard.com
(5) 삼성, 현대, 하나, NH카드
6~12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해요.
(6) 네이버페이
10만 원 이상 납부 시 3천 원 포인트를 추첨으로 지급합니다.
5. 마무리
재산세 납부 기한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납부기한을 넘기면 무조건 3% 가산금 맞으니, 이런 아까운 돈은 내시면 안 되겠죠.
납부 전에 내가 이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 납부 혜택은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해 보시고요.
재산이 부부 공동명의로 돼 있더라도, 타인카드로도 납부가 가능하니, 둘 중 한 사람의 신용카드로 전액을 납부하시는 것이 그나마 실적과 포인트 적립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 기억하세요.